2018년 12월 14일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 계층 분석 과정, AHP
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개념
-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두 Factor 간 쌍대비교 행렬화 연산을 이용한 가중치 산정 기반 의사결정 도구
나. AHP의 특징
쌍대 비교 (Pair-wise Comp.) | – 자체 행렬 곱 연산을 통해 중요도를 수학적으로 도출하는 기법 |
정량적 우선순위 도출 | – 행렬곱 연산을 통해 정량적 가중치 산정이 가능하여 대안 별 순위 도출 |
II. AHP 분석 기법
가. AHP 분석을 위한 의사결정 계층구조
![]() |
나. AHP 분석 절차
![]() |
- CR(Consistency Ratio): 일관성 수준 검증을 위한 비율 수치로 CI / RI 비율로 측정
- CI(Consistency Index): 비교 수행자의 일관성 응답 수준 지표
- RI(Random Consistency Index): 일관성 검증 위한 무작위 일관성 수준(Saaty, The Logic of Priorities, 1982)
III. AHP 분석 수행 절차 사례
가. AHP 분석 수행 절차
절차도 | 단계 | 절차 |
---|---|---|
![]() | 1단계 | 의사결정 계층 구성 |
2단계 | 쌍대 비교 수행/입력 | |
3단계 | 중요도 (행렬곱 연산) | |
4단계 | 일관성 비율(CR) 저하 시 2단계부터 재수행 | |
5단계 | 선택할 대안 선정 |
나. AHP 분석 수행 사례
단계 | 절차 |
---|---|
1단계 의사결정 계층생성 | ![]() |
– 관련된 모든 요소 식별, 선정하여 계층구조화 – 계층1: 목표, 계층2: 기준, 계층3: 대안 | |
2단계 Pair-wise 비교입력 | – 평가기준 상호 간 쌍대 비교 입력![]() 1:동일, 3:약간중요, 5:중요, 7:매우중요, 9:극히중요 |
– 대안 상호 간 쌍대 비교 입력![]() | |
평가요소 중요도 입력 | ![]() ![]() ![]() ![]() |
– 쌍대비교 행렬의 원소를 열의 합으로 나누어 표준화 행렬을 도출하여 평균 계산 | |
일관성 비율 (CR) 평가 | ![]() ![]() |
– 일관성 비율(CR) 계산 결과, CR < 0.1 이므로 일관성이 존재한다고 판단 ※ RI(Random Consistency Index)는 평균 무작위 수준(Saaty, 1982) 기준에 따라 0.580으로 적용 | |
최종 중요도 도출 | ![]() ![]() |
– B서버가 0.427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음 – A서버(0.360)와 C서버(0.212)가 다음 순위 |
7 Comments
정리 잘 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I값이 < 0.1 이 되어야 하는게 아니라 CR = CI/RI 값이 < 0.1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욤…
네 맞습니다. AHP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CI값이 아닌 CR값을 0.1과 비교해서 적용해야 합니다. 말씀하신 부분과 같이 CR 검증으로 본문을 수정하였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문의 하나 드립니다. 혹시 CI나 CR 값이 0.1 미만이긴 한데, 음수로 떨어지면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음수로 떨어지려면 λmax – n이 음수가 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양수가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음수로 떨어지는 경우는 데이터가 잘못 들어갔을 수 있으니 데이터에 문제가 없는지 봐야할 듯 합니다. 데이터가 정상인데도 불구하고 CI 나 CR값이 음수로 떨어지는 경우 처리 방법은 저도 지식이 짧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글 감사합니다.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Criteria가 CR을 통과 못하면 해당 Criteria는 버리게 되나요, 아니면 다른 가중치를 둬서 다시 테스트를 하게 되나요?
CR을 통과하지 못하면 기준과 가중치를 다시 수립하여 비교하게 되므로 Criteria를 버리거나 추가하고, 가중치도 변경하여 테스트를 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CR이 10% 이내이면 평가자가 내린 항목들에 대한 판단이 일관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reasonable), 20% 이내일 경우 용납할 수 있으나(tolerable), 그 이상이면(CR을 통과하지 못하면)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기준과 가중치를 다시 수립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