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우코드(Low-Code)/노코드(No-Code)의 부각 배경
- 디지털 전환의 필수 요소는 지금까지의 기술부채, 조직부채를 새로운 디지털 접근 방법으로 해결하고 기존 자산도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 디자인 필요
-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시간, 비용 등 제한된 리소스로 적시에 비즈니스 프로세스 반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로우코드/노코드 필요
2. 로우코드/노코드의 개념 및 차이점
(1) 로우코드/노코드의 개념
로우코드 (Low-Code) | 개발자가 코드 사용을 최소화하고, 반복적이고 단순한 부분을 정형화된 템플릿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하는 기술 |
---|---|
노코드 (No-Code) | 비개발자가 코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복잡한 프로그래밍 도구나 전문 개발 지식 없이 드래그 앤 드롭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술 |
(2) 로우코드와 노코드의 차이점
로우코드 | 노코드 |
---|---|
– 신속 개발이 필요한 개발자 대상 – 모델 기반 선언적 고급 프로그래밍 추상화 – 시각적 개발 환경, 백엔드 시스템, 자동 링크 | – 최소의 코딩 지식,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 – 코딩 없는 시각적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 – 커스터마이즈 관점 로우코드 보다 제한적 |
- 로우코드와 노코드는 모두 최소한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아이디어 검증이 가능하고 실제 제품 출시에 필요한 선행 기간을 절감하여 기업의 일반 비용과 리소스 활용에 크게 기여
3. 로우코드/노코드의 구성요소 및 도입 시 고려사항
(1) 로우코드/노코드의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역할 |
---|---|---|
개발 환경 | UI | – 드래그 앤 드롭, 시각적 개발 환경 등 |
IDE, Editor | – 문서 편집 화면과 출력을 동일하게 해주는 편집 도구 | |
템플릿 관리 | – 재사용성 확보 위한 템플릿 모델링 및 관리 | |
개발 지원 | DB 통합 | – 데이터 모델 쿼리 추출, 외부 API 데이터 수신 |
3rd Party 지원 | – 외부 개발 3rd 애플리케이션 통합 지원 | |
워크플로우 모델링 | – 비즈니스 로직 및 프로세스 모델링 지원 |
(2) 로우코드/노코드 도입 시 고려사항
구분 | 고려사항 | 도입 시 영향도 또는 목표 |
---|---|---|
비용 관점 | ROI | – 새로운 제품 빠른 출시를 통한 중요 가치 신속 제공 – 기업, 기관, 단체의 디지털 혁신 가속 역량 제공 |
비용 최적화 | – 시간과 리소스 절감을 중심으로 지속 지출 비용 계획 수립 – 구독형 모델 사용 시 최소 규모에서 탄력적으로 확대 | |
기술 관점 | 기존 인프라와 적합성 | – 기업 및 조직의 기본 인프라스트럭처에 융합 – AI, 블록체인 등 최신기술과 연결되는 솔루션으로 검토 |
보안 취약점 최소화 | – 로우코드/노코드가 외부 용도로 사용 시 위협 증가 – 신뢰성 있는 프레임워크 내 APP 개발 및 운영 |
- 현대 기업이나 조직의 경쟁력은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하는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준비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므로 로우코드/노코드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과정에서 비전문 개발자, 현업 개발자의 반복적인 활동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연결자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참고]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앞당기는 로우코드/노코드 개발 플랫폼”, 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