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개념
광의적 개념 | 디지털콘텐츠의 생산, 분배, 관리, 정산 등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리 및 유통 효율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과 서비스 |
---|---|
협의적 개념 | 지적재산권 침해로부터 저작물 보호 위해 디지털콘텐츠 암호화 패키징, 라이센스 관리, 권한 통제 기반 저작권 보호 기술 |
- 디지털콘텐츠는 반복 사용에 따른 품질 저하가 없고, 수정/복사 용이, 통신망 통해 대용량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적 특성 보유
- 디지털콘텐츠는 배포용이, 쉬운 접근환경을 제공하는 순기능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불법복제로 인한 지적재산권 침해 등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어 DRM 기반 디지털콘텐츠 보호 필요
2. DRM의 기술 구조 및 기술 요소
(1) DRM의 기술 구조도
(2) DRM의 기술 요소
구분 | 기술 요소 | 역할 | |
---|---|---|---|
콘텐츠 보호 | 적극적 보호 | 사용 제어 | – 허가된 사용 권한에 따라 지속적으로 통제 –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쳐 지적재산권 보호 |
복제 방지 | – 암호화를 통해 복제 시 콘텐츠 사용 불가 – 대칭키/비대칭키 암호화, 전자서명 | ||
접근 제어 | – 정당한 권한 보유 사용자만 접근 및 이용 허락 – 접근 통제(ACL), 디지털 방송 콘텐츠 보호(CAS) | ||
소극적 보호 | 핑거프린팅 | – 원본 왜곡 없이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저작권 정보 삽입 – 구매자 정보를 포함하여 불법복제 배포자 추적 | |
워터마킹 | – 흐린 무늬/로고를 콘텐츠에 삽입하여 소유권 증명 – 강성(robust)/연성(fragile) 워터마킹 | ||
저작권 표시 | – 디지털콘텐츠에 저작권 정보 표시 – ‘Creative Commons’ 등 | ||
콘텐츠 관리 | 메타데이터 | – 콘텐츠 전송망(CDN),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 국가표준식별체계(UCI),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 | |
콘텐츠 식별 | – 국가표준식별체계(UCI), 디지털 객체 식별자(DOI) – 통합 저작권 관리 번호(ICN), 자동검증, 자동 출처표시 | ||
콘텐츠 유통 | 결제 | – 인앱(InApp) 결제, 모바일 간편결제 – 앱카드, 앱푸시, 가상화폐, De-Fi | |
정책 | – SW 라이선스 관리, 공개키 기반 라이선스 인증 – 코드사이닝(Code Signing), PGP(Pretty Good Privacy) | ||
사용량 모니터링 | – 콘텐츠 사용 현황, 사용자 수, 비정상 사용 시도 – 특정 사용자/콘텐츠 지정 사용량 모니터링 | ||
권리 거래 | – 자유이용허락표시(CCL), 공공저작물(KOGL) – 데이터 거래소, 블록체인 기반 저작물 유통, LOD |
- 저작권 보호의 지리적 경계가 모호하므로 국제 저작권 기술 콘퍼런스(ICOTEC) 참여, 국제 표준 단체 활동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저작권 기술 해외 진출 및 국제 교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필요
3. DRM 관련 국제 표준 단체 및 활동 내용
기술 분야 | 표준 단체 | 활동 내용 |
---|---|---|
DRM 플랫폼 | MPEG 21 | – 모든 디지털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DRM Framework의 표준 개발 |
OMA | –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DRM 기술 사양 개발 | |
CORAL | – 디지털 콘텐츠의 상호호환성을 보장하는 DRM 기술 개발 | |
CRF | – DRM의 상호호환성을 위한 표준 개발 | |
ISMA | – MPEG-4 기반의 DRM 기술 개발 | |
DLNA | – 디지털 홈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DRM 기술 사양 개발 | |
DMP | – 디지털콘텐츠 산업 DRM 정책 가이드 및 기술사양 개발 | |
DCI | – 디지털 시네마의 표준 기술규격 개발 | |
TCG | – 하드웨어 및 OS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 | |
DVB-CPCM | – 유럽 디지털 방송 표준에서 사용될 수 있는 DRM 기술규격 개발 | |
TV-Anytime | – PVR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한 DRM 기술 사양 개발 | |
SDMI | – 온라인 음악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 기술 개발 | |
OeBF | – e-Book에서 사용될 수 있는 DRM의 표준 개발 | |
REL | XrML | – XML 기반의 권리표현기술 사양 |
ODRL | – XML 기반의 권리표현기술 사양 | |
Metadata | IMPRIMATUR | – 디지털콘텐츠 유통의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연구 프로젝트 |
Indecs | – 디지털콘텐츠 유통에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 표준 개발 | |
Copy Protection | CPTWG | – DVD, 디지털방송 분야의 복제방지기술 표준화 포럼 |
OpenCable CPT | – 케이블방송의 복제방지기술 표준 | |
4C CPPM/CPRM | – 광디스크, SD메모리 등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방지기술 | |
5C DTCP | – IEEE 1394, USB, Over IP 등 디지털전송채널을 통해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방지기술 | |
HDCP | – DVI, HDMI 등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복제방지기술 | |
SmartRight | – 디지털 홈 환경에서의 디지털콘텐츠 복제방지 기술 | |
SVP | – 디지털 홈 환경에서의 디지털콘텐츠 복제방지 기술 | |
DVD CCA | – DVD의 복제방지 기술 | |
AACP | – HD DVD의 복제방지 기술 | |
CAS | DVB CA | – 디지털방송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수신권한제어(CA) 기술 |
ATSC CAS | – 지상파 디지털방송 콘텐츠의 수신권한제어(CA) 기술 | |
NGNA | – 차세대 디지털케이블방송 기술규격 개발 |
-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DRM의 수용가 크게 증가
- DRM 솔루션/서비스 업체/기기 제조사 간 상이한 규격의 DRM솔루션 사용으로 인해서 DRM의 상호호환성 결여가 큰 문제점으로 대두
- 디지털콘텐츠 지적재산권 보호 위해 DRM의 수요 증가, 여러 DRM 기술 출시로 적합한 DRM 표준화 전략이나 대책 마련 필요
[참고]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저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2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