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소셜 로봇 (Social Robot)

I. 소셜 로봇의 개념 및 특징

가. 소셜 로봇의 개념

개념도
개념 일상적 의사소통 및 상대 행동에 따라 적응해가며 사회적 행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

나. 소셜 로봇의 특징

구분 특징 설명
대화 커뮤니케이션 – 언어, 표정, 행동 통해 사람과 일상적인 의사소통 수행
정서적 상호 작용 –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 통해 인지적/정서적 상호 작용 수행
자율 사물 통신 – 각종 사물과 통신하여 명령을 내리거나 상태를 파악
자율 행동 – 주어진 역할과 규칙에 따라 주변 환경 인식 및 자율적 행동 수행
학습 데이터 학습 – 사람과 상호 작용으로 획득한 데이터로 대화/동작 능력 지속 개선

 

II. 소셜 로봇 시장 현황

가. 제공 서비스 형태 별 소셜 로봇 시장 현황

서비스 사례 적용 기술 설명
가사
지원
실내 청소 로봇 – PDR 기술
– 자이로 센서
– 실내 청소 등 단순 가사 활동 지원, 맞벌이, 1인가구 위주 고객층
교육
지원
교육용
로봇
– 영상처리
– 음성 인식
– 미취학 아동, 저학년 위주, 스마트폰과 차별화 부족 판매 저조
엔터테인
먼트
애완용
로봇
– 얼굴 인식
– HRI
– 애완용, 댄스 로봇 등 여가 서비스 제공 기능 로봇이 시장 주도
의료
서비스
실버 케어 로봇 – HL7
– 바이오 센서
– 고령화 따른 노인 의료/보건용 로봇과 장애인 보조 로봇 출시
  • 초기 실내 로봇 청소기 같은 가사 지원 형태에서 엔터테인먼트, 교육, 실버 케어 등 다변화 추세

나. 로봇 산업 지원 분야의 소셜 로봇 시장 현황

가치 사슬 유형 설명
칩 벤더 무선 송수신 칩
마이크로 센서
– 퀄컴, TI, ARM 등 원천 기술 글로벌 기업 중심 시장
모듈/단말 IoT 단말/모듈 – 주변 사물 인식 위한 센싱 기술과 로봇 동작 위주
플랫폼/
솔루션
IoT 플랫폼
IoT 종합 솔루션
– AI, Big Data, Cloud 기업 서비스 연계 플랫폼 전략
Network/
Service
M2M 서비스 – 기본적 네트워크 제공, 부가 서비스 연계 통신사 위주
  • 소셜 로봇이 인터넷 사업과 연계되어 로봇-인터넷 생태계 창조 방향으로 시장 변화

 

III. 소셜 로봇 시장 전망

가. 소셜 로봇 시장 전망 위한 PEST 분석

[Policy]
– 정부 지원 과제 직접지원
– 산학연 등 다양한 환경의 공동연구 환경 조성 미흡
– 시장 형성 제품 집중 투자
[Economy]
– 로봇 산업 육성 통한 경기 부양 기대 가능
– 세계 경기 불황에도 로봇 산업은 지속적 성장 추세
[Social]
– 고령화 증가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수요층 증가
– 복잡한 제도로 인해 의료용 로봇 제품 개발/판매 곤란
[Technology]
– 국내 산업 경쟁력 취약
– 로봇 산업 적용 가능 산업, 기술, 인프라 형성 상태
– S/W 대비 활성화 미흡
  • PEST 분석에 의해 소셜 로봇 기술적 측면과 시장 측면 미래 예측 수행

나. 소셜 로봇 기술적 측면 시장 전망

영향 요소 시장 전망 설명
Technology 머신러닝 융합 – 사람과 교감 기술 고도화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 융합
클라우드 연계 – 대규모 데이터의 활용 위해 클라우드 활용
Social BT 융합 – 고령화 대비 건강/의료 관심 증가로 BT 융합기술 증가
Policy +
Technology
고정밀 Sensing 기술 성장 – 정부 지원/부품 산업 투자로 센싱 기술 소형화, 정밀화

다. 소셜 로봇 Market 측면 시장 전망

영향 요소 시장 전망 설명
Social 개인 비서 소셜
로봇 성장
– 사람과 교감 기술 고도화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 융합
Social +
Technology
정보 제공 플랫폼 사업자 등장 – 소셜 로봇의 지능화와 Data 제공 위한 플랫폼 사업자
Economy+
Technology
소셜 로봇의
대중화
– 지속적 기술 발달과 저성장 따른 단가 하락으로 대중화
Policy +
Technology
핵심 부품 소재
산업 성장
– 핵심 부품 경쟁력 취약 부분 성장 위한 집중 투자
  • 소셜 로봇 시장 전망에 따라 취약 부분 보강 및 시장 선도 위한 추가적 노력 필요

 

IV. 소셜 로봇 시장 선도를 위한 전략

분야 전략 설명
Policy 기반 기술 육성 정책 – 시장 창출 가능한 블루 오션 영역 발굴, 기반 기술 육성
SW 중심 대학 활성화 – S/W 역량 강화와 우수 인재 수요 충족 위한 SW 중심 대학
공공 기관 초기 수요 확대 – 미 시장 형성 부분 소셜 로봇 선제 도입으로 시장 형성 역할
Enterprise 합종 연횡 전략 – 여러 기반 기술 필요로 단독 진행 보다 기업 간 컨소시엄 대응
원천 기술 확보 – IoT 센서 칩, 딥러닝 등 기반 기술 집중 육성 투자로 경쟁력 확보
  • 인공지능 인력 집중 육성과 소셜 로봇 학습과 정보 활용 위한 빅데이터 접근성 개선 통해 시장 선도 가능
Categories: 디지털서비스
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