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In-band Network Telemetry)

1.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의 개념 및 특징

  •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INT, In-band Network Telemetry)
개념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트래픽 정보 수집을 위해 패킷 단위 행위를 수집, 저장, 분석하는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특징Out-of-band 방식은 별도의 탐지 패킷을 생성하여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반면, In-band 방식은 기존 데이터 트래픽에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삽입하여 별도의 탐지 패킷 생성 없이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수집
  •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기존 플로우 단위 정보(NetFlow)나 트래픽 샘플링(sFlow), 카운터 기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식(SNMP)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 가시성을 향상

 

2.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모드, 전송 과정 및 구성요소

(1)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모드

모드특징패킷 수정
INT-XD
(EXport Data)
패킷 수정 없이 메타데이터를 전달패킷 수정 없음
INT-MX
(EMbed Instruct(X)ions)
패킷에 인스트럭션만 포함하여 메타데이터 전달인스트럭션만 포함
INT-MD
(EMbed Data)
Sink 노드에서 패킷에 인스트럭션과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전달인스트럭션 및 메타데이터 포함

(2)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전송 과정

(3)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의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역할
패킷 구조INT 헤더– 스위치 통과 패킷에 헤더로 추가되어 INT 정보 운반
INT 인스트럭션– 스위치의 메타데이터를 가리키는 Embedded 패킷 명령
INT 메타데이터– 스위치를 통해 INT에 삽입되어 트래픽 행위 정보 전달
INT
정보 운영
INT Source Node– 전송 패킷에 INT 헤더를 생성, 삽입하는 스위치
INT Transit Hop Node– 메타데이터를 INT 패킷에 추가하는 스위치
INT Sink Node– INT 패킷과 일반 패킷을 분리하여 각 목적지 별 전송
수집 및
제어
INT Collector– 메타데이터를 JSON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
원격 모니터링 엔진– 네트워크 품질 관리 위해 삽입된 메타데이터 분석
  • INT 정보를 통해 각 스위치의 포트 별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파악, 라우팅 정보 및 트래픽 엔지니어링 결과 반영 확인 가능하며, 트래픽 메트릭 생성 및 SLA 위반 여부 확인 가능

 

3. 인-밴드 네트워크 텔레메트리의 활용 사례

  • SDN 환경에서의 INT 메타데이터 수집 사례
제어 평면
(Control Plane)
– 프로그래머블 스위치에 INT 프로그램 배포, INT 모니터링 조건 제어,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네트워크 요구 사항 반영 등의 기능을 수행
데이터 평면
(Data Plane)
– 데이터 평면에서는 INT 메타데이터 데이터 생성, 추출 및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
관리 평면
(Management Plane)
– Sink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INT 메타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
  • 제어 평면과 데이터 평면간 Signaling의 주기적 제약을 없애고, 전달되는 모든 패킷에 메타데이터 정보를 삽입하여 성능 저하 없이 패킷의 네트워크 장애 및 성능 관리/분석 가능

 

[참고]

  • 현종환 외, 포항공과대학교, In-band 네트워크 텔레메트리 수집 및 활용 방안 연구, 2017
  • P4.org Applications Working Group, In-band Network Telemetry (INT) Dataplane Specification, 2020

콘텐츠 사용 시 출처 표기 부탁 드리고,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