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네트워크

FTP Active/Passive Mode

1. FTP(File Transfer Protocol)의 개념 개념 특징 상호 연결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파일을 신뢰성 있게 전송하기 위한 TCP/IP 통신 규약 – OSI Layer: Application Layer – TCP 기반 통신 신뢰성 있는 파일 전송 – 제어(Command, Control) 포트 사용 – 전송(Data, Transfer) 포트 사용 인터넷, 인트라넷 등 상호 연결된 호스트 간 파일을 신뢰성 있게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FSO (Mobile Free Space Optics)

1. 모바일 FSO (Mobile Free Space Optics)의 개요 개념 등장 배경 자율주행차, UAV 등 이동체에서 추적시스템(PAT) 기반 LOS(Line-of-Sight)를 확보하여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체 광무선통신 기술 – 모바일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 – RF 스펙트럼 주파수 자원 고갈 – 자율주행차, UAV 등 무인이동체 확산 – MIMO 등 신호처리 기술 발달 PAT(Pointing, Acquisition, Tracking): FSO

해밍 거리 (Hamming Distance)

1.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의 개념 송/수신 데이터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등을 위해 두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수치화하는 함수   2. 해밍 거리 도출 메커니즘 및 오류 검출/정정 능력 (1) 해밍 거리 도출 사례 기반 메커니즘 같은 길이를 가진 두 부호열 또는 비트열에 대해 같은 위치에서 서로 다른 기호의 개 수(Hamming Weight)로 산출  해밍

Zigbee

1. Zigbee(지그비, 직비)의 개념 및 특징 개념 소형, 저전력 라디오를 통해 IoT 등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IEEE 802.15.4 표준 기반 근거리 저전력 무선통신 프로토콜 특징 메시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 여러 중간 노드를 거쳐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저전력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범위 통신 가능 애드혹 네트워크 특성으로 인해 중심 노드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WPAN 응용

QUIC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

1.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의 개요 (1) QUIC의 개념 및 배경 개념 UDP 기반 응답 속도를 개선하고 TCP 기반 다중화와 신뢰성 있는 전송이 가능한 차세대 HTTP 프로토콜(HTTP/3) 배경 – 구글에서 처음 설계하였고, 2012년 구현 및 적용되었고, 2013년 실험 확대로서 공개 발표 후 IETF에서 기술 표준화 – 사물인터넷 등의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OSI 7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1.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의 개요 (1)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 개념도 개념 동일한 물리 네트워크 하부 구조에서 SDN 및 NFV 기반 가상화된 독립적인 논리망으로 다중화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요청한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 서비스 레벨 요구(SLA)가 매우 다른 다양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설계 (2)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필요성   2.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오버레이 네트워크 (Overlay Network)

1.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의 개념 개념도 개념 기존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그 위에 구성된 또 다른 네트워크, 기존의 네트워크 위에 별도의 노드들(nodes)과 논리적 링크들(logical links)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가상 네트워크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기반 네트워크인 언더레이 네트워크(Underlay Network)가 필요   2. 오버레이 네트워크 유형/주요기술 구분 유형/주요기술 세부 설명 유형 구조화 오버레이 – 각 노드

5G 특화망 (Private 5G)

I. 5G 특화망의 개요 개념 필요성 건물, 공장 등 특정 지역에 한해 5G 서비스에 특화된 NPN, MEC 기술 기반 5G 서비스 전용망 –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B2B 서비스 필요 – 특정 기관/기업만의 5G 특화 서비스 요구 – 전용망의 데이터 안전성 확보 필요 5G 특화망은 코로나-19로 촉발된 산업적/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인프라로, 산업 및 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에

통신망 구조 (Network Topology)

I. 통신망 구조 (Network Topology)의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의 요소들(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한 형태나 연결 방식 명령 및 제어 무선 네트워크, 산업용 필드 버스 및 컴퓨터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의 배열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데 사용   II. 통신망 구조의 유형 유형 개념도 설명 성형 (Star Topology) – 중앙집중식 구조 – 중앙 교환장비가 데이타

다중 접근 프로토콜(Multiple Access Protocol)

I. 다중 접근 프로토콜의 필요성 및 분류 필요성 – 노드B와 노드C에서 노드A로 연결되는 공유 매체에서 발생 가능한 충돌을 방지/제어 – 타 사용자와 유/무선망 매체 공유 위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다중 접근 프로토콜 사용 분류 OSI 7 Layer 중 2계층에서 동작하는 다중 접근 프로토콜은 공유 매체의 효율적인 자원 할당을 위해 경쟁/비경쟁 및 중앙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