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1.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의 필요성 및 개념

필요성
개념변화되는 디지털 시대 적응을 위한 디지털 기기와 정보를 활용한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능력
  • 디지털 리터러시 외 ICT/컴퓨터 리터러시는 정보통신 신기술의 도구적 활용 능력에 초점, 정보/미디어 리터러시는 인터넷 발달을 통해 형성된 정보를 비판적으로 활용 및 의사소통하는 능력에 초점
  • 디지털 리터러시는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및 역량 관련 체계적 프레임워크를 개발

 
2.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1) 국내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대영역세부 요소학습 요소
디지털 기기와
S/W의 활용
디지털 기기의 활용– 하드웨어의 구조와 기능 등
네트워크 연결 및 인터넷 사용 등
소프트웨어의 활용– 소프트웨어 구조, 기능 등
– 소프트웨어 탐색과 선택 등
인공지능의 활용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 등
인공지능 도구의 특성, 활용 등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생성
자료의 수집과 저장– 디지털 자료 수집 방법, 신뢰성 파악
– 디지털 자료의 저장과 분류 등
정보의 분석과 표현– 디지털 정보와 데이터 분해, 분류
– 디지털 정보와 데이터 해설, 표현
디지털 콘텐츠 생성–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선택
– 디지털 콘텐츠 기획, 편집, 창작
디지털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디지털 의사소통– 디지털 의사소통 방법 선택, 협업
– 온라인의 부정적 이슈 예방, 대처
디지털 문제해결– 문제 파악 및 공감, 문제 정의
– 문제 해결 방안 수립, 해결 실천
디지털 윤리와
정보 보호
디지털 윤리– 디지털 기기 이용 관리, 절체
– 사이버 폭력 예방 대처
디지털 정보 보호– 디지털 준법, 사이버 범죄 예방
– 개인정보 및 디지털 저작물 보호

(2) 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 교육부)

영역하위 요소
연구 및 정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정보 프로세싱 관리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의사결정– 학습을 위한 전문 고급 기술
창의성 및 혁신– 생각과 지식의 창의성 표현
디지털 시민의식– 인터넷 안전, 개인정보 보호, 관계와 의사소통
– 디지털 지문과 평판, 자기 정체성, 창의성 및 저작권
– 법적/윤리적 측면, 기술 관련 균형, ICT 역할 이해
의사소통 및 협동– 기술기반의 통신과 협동
기술의 운용 및 개념– 일반적 지식과 기능적 스킬, 일상에서의 사용
–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 자기효율성 증명
– 디지털 기술에 대한 학습 및 디지털 기반 학습
  •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체계를 위한 교육 운영 방안으로 디자인 씽킹, 메이커 교육 등을 토대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3CR 모델을 개발

 
3. 디지털 리터러시 단계별 교수학습 모델(3CR 모델)

#단계세부 절차
맥락파악
(Context)
– 해결해야할 문제 상황을 인식
– 해당 맥락속에서 문제 이해 및 공감
문제정의
(Clarification)
– 해결해야할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
– 다양한 해결안에 대해 논의, 비판적 시각 견지 및 대안 축소
해결 창안
(Creation)
– 최상의 해결안 결정 및 문제 해결 추구 가치 합의, 최적 해결안 도출
– 추상적인 해결안을 구체화하여 산출물로 표현하고 상호공유 및 검증
학습 성찰
(Reflection)
– 문제 해결 후 문제 발견 맥락 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평가
– 문제 해결 전 과정에 대해 개선점 도출 및 향후 계획에 반영
  •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이 필요한 역량으로, 단계별 학습 및 교육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수정·보완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 필요

 
[참고]

  • 최숙영,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 김진숙, 교육과정 연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2023)

콘텐츠 사용 시 출처 표기 부탁 드리고,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