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1.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개요

(1) CBDC의 개념 및 범위

개념실물 화폐의 보완/대체를 위해 분산원장, 블록체인 기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범위

(2) CBDC의 등장 배경/필요성 및 특징

등장 배경
/ 필요성
특징거래 익명성 제한CBDC 구현 시 거래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익명성 제한 가능
이자 지급이자 지급이 가능하고, 금리 수준에 따라 현금·은행 예금 등에 대한 수요 조절 가능
보유 한도 설정자금 세탁·테러 자금 조달 등의 수단으로 악용 방지 위해 경제주체별 보유 및 사용 한도 설정 가능
다양한 형태 발행연중무휴 또는 특정 시간대(예: 0시∼4시)의 이용 제한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행

(3) CBDC와 현금, 지급준비 예치금 간 비교

비교 항목CBDC현금지급준비 예치금
거래 익명성보장 여부
선택 가능
보장
이자 지급가능불가능가능
보유 한도한도 설정
가능
이용 가능 시간설정 가능제한 없음제한됨
  • CBDC는 중앙은행의 직접적인 채무(Central bank liability)로써, 현금 등 법정 화폐와 일대일 교환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암호 자산과 구분
  • CBDC 거래처리 또는 공급방식에 따라 여러가지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경제주체별 소액/거액 결제용 CBDC로 구분

 

2. CBDC의 구현 방식 및 기술 스택

(1) CBDC의 구현 방식

구분구현 방식메커니즘
거래처리
방식
계좌형– 개별 보유자마다 계좌를 개설하고, CBDC가 발행하는 단일 원장 방식
– 거래 시 지급인인 계좌 보유자의 신원 인증이 권리 확인에 필요한 방식
토큰형– 원장에 CBDC의 발행 및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분산 원장 방식
– 거래 시 계좌보유자의 신원 인증 대신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서명과 같은 방식으로 인증
공급
방식
직접형– 중앙은행이 CBDC 발행 및 유통을 담당하는 형태
– 중앙은행은 모든 경제주체의 CBDC 거래에 관한 기록을 관리
간접형– 중앙은행이 CBDC를 발행하고, 상업은행 등 중개기관이 유통을 담당하는 형태
하이브리드– 중앙은행이 중개기관에 CBDC 를 발행하고, 중개기관이 일반 이용자에게 CBDC를 공급하는 형태

(2) CBDC의 기술 스택

  • CBDC는 중앙은행의 직접적인 채무(Central bank liability)로써, 현금 등 법정 화폐와 일대일 교환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암호 자산과 구분

 

3. CBDC 도입 추진 시 고려사항

(1) CBDC 발행에 대한 기본 원칙 (2021.10 영국 G7 회의)

#원칙 (Principle) 내용
1통화·금융 시스템의 안정
(Monetary and financial stability)
모든 CBDC는 공공정책의 목적과 달성을 지원하고 금융시스템에 장애가 되지 않게 설계되어야 한다.
2법적·거버넌스 프레임워크
(Legal and governance frameworks)
법률준수, 건전한 경제 거버넌스, 투명한 국제통화시스템에 관한 G7의 가치관이 모든 CBDC의 설계와 운영의 지침이 되어야 한다.
3정보 프라이버시
(Data privacy)
엄격한 프라이버시 기준, 이용자 보호에 관한 설명책임, 정보보호 및 이용 방법의 투명성은 모든 CBDC가 신뢰를 얻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원칙이다.
4운영 복원력과 사이버보안
(Operational Resilience and Cyber Security)
신뢰성, 내구성 있고 변화에 유연한 디지털 결제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CBDC의 생태계는 사이버 리스크, 사기 리스크, 운영리스크에 대해 안전하고 복원력을 갖추어야 한다.
5경쟁
(Competition)
CBDC는 기존 결제 수단과 공존해야 하며, 개방성, 안전성, 유연성, 투명성을 확보한 경쟁환경에서 운영되어야 한다.
6부정한 금융
(Illicit finance)
모든 CBDC는 범죄를 조장하는 이용 목적을 경감시키도록 노력해야 하며 보다 빠르고, 보다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7파급효과
(Spillovers)
CBDC는 그 도입으로 국제통화·금융 시스템에 피해를 주는 리스크가 없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8에너지와 환경
(Energy and Environment)
모든 CBDC 인프라의 에너지 사용은 국제사회의 탄소배출 저감 경제(Net Zero Economy) 추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효율적이어야 한다.
9디지털경제와 혁신
(Digital economy and innovation)
CBDC는 디지털경제의 혁신을 유도하고 기존금융과의 상호연동성을 확보해야 한다.
10금융 포용성
(Financial inclusion)
금융당국은 CBDC의 금융 포용성을 검토해야 하며, CBDC는 기존 금융시스템이 미치지 못했던 부분까지 가능한 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1공공부문 내의 결제
(Payments to and from the public sector)
모든 CBDC는 공공부문과 민간의 사용에 있어 평시나 위기 시에도 변함없이 빠르고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12국제거래 기능
(Cross-border functionality)
CBDC 발행에 있어 중앙은행과 관련 조직은 국제거래가 가능하도록 검토해야 한다.
13국제개발
(International development)
국제개발원조에 사용되는 모든 CBDC는 투명성을 제공하고 발행국 및 수혜국의 공공정책 목적을 보호해야 한다.

(2) 발생 가능한 보안 이슈에 따른 대응방안

발생 가능한 보안 이슈대응방안
DDoS, APT, 멀웨어, 사회공학 공격, 암호키 위변조, 분산원장 대상 공격, 결제 프로세스 위변조, 최종이용자 공격, 내부자 방해/사기, 인적 실수, 통제 부족, 인프라 운영 중단, 기술 오류/노후화, 공급망 공격– 국제결제은행(BIS)의 프로젝트 폴라리스
준비(prepare), 식별(Identify), 보호(Protect), 탐지(Detect), 대응(Respond), 회복(Recover), 조정(Adapt)의 7단계로 분산원장 및 스마트계약 기술 관련 발생 가능한 위험 제거
  • CBDC는 개인/기업이 사용하므로 단말기, 전자지갑, 블록체인 기반 네트워크 대상 새로운 형태의 공격에 대응할 필요성이 있으며, Web 3.0 기반 가상/현실 세계의 “동기화”에 대한 체계적 준비 필요

 
[참고]

  • 서울대학교,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발행에 관한 연구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관련 글로벌 동향과 보안 이슈 점검
  •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한국은행의 CBDC 기술 연구 현황 및 계획

콘텐츠 사용 시 출처 표기 부탁 드리고, 궁금한 점이나 의견은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