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Metaverse)

1. 메타버스 (Metaverse)의 개요 (1) 메타버스의 등장배경 및 개념 등장배경 – 현실세계와 분리된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적/경제적 활동이 통용되는 3차원 가상공간으로 진화   개념 – 현실의 나와 가상의 나(아바타)를 통해 일상활동과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인터넷 공간과 물리적 공간이 공존하는 집합적 가상공존세계 – 초월(meta) + 우주(universe)의 합성어 (2) 인터넷 공간과 구별되는 메타버스의 특징 Be persistent – 리셋이나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 자동 IP 할당 서비스, DHCP의 개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념 필요성 네트워크 장치에 일정 시간 동안 IP 주소를 임대하여 할당하고 관리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 – 부족한 IPv4 자원을 효율적 사용 – IP 주소를 자동화하여 관리 편의성 증대 – 인증된 Host만 IP 주소 부여로 보안 강화 DHCP는 RFC 2131에 명시되어 있고 BOOTP에 기반을

소프트웨어 임치제도 (SW Escrow)

1. 소프트웨어 임치제도 (SW Escrow)의 개념 및 필요성 (1) 소프트웨어 임치제도의 개념 소프트웨어의 지식재산권 보호와 안정적인 사용권 보장을 위해 소스코드 및 기술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에 임치하는 제도 (2) 소프트웨어 임치제도의 필요성 개발 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 사용 기업의 SW 사용권 보장 SW 산업 보호/경쟁력 강화 – 개발사 원천기술 유출 방지 – SW개발 및 영업

네트워크 (Network) 유형과 표준화 단체

1. 네트워크(Network) 유형 (1) 전송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유형 유형 전송 거리 설명 BAN (Body Area Network) 1M 이내 – 옷이나 인체에 부착된 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 – IEEE 802.15 WBAN 워킹그룹 표준화 PAN (Personal Area Network) 10M 이내 – 10m 이내 단거리 네트워크, IEEE 802.15 표준화 – WPA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LAN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 (Network)

1. 네트워크의 개요 (1) 네트워크 (Network)의 개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전송 매체로 연결된 시스템들의 모음으로, 모뎀이나 LAN, 케이블, 무선 매체 등 통신 설비를 서로 연결하는 조직이나 체계, 통신망 독립적인 정보기기가 물리적 영역 내에서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 체계 원격지 통신장치 상호 간에 통신미디어를 통해 통신 규칙(protocol) 기반 데이터의 전송,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Traversal

1. 사설 네트워크 통과 NAT 기술, NAT Traversal의 개념 개념도 개념 사설 IP 주소를 보유한 Host의 P2P 통신을 위해 IP 주소/Port 변환과 Filtering 및 Binding 기반 NAT 내/외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기술 NAT Traversal을 구현하기 위해 RFC 5128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술 방식은 Relaying, Connection Reversal, Hole Punching의 3가지 방식으로, Host 및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자원 할당 그래프 (Resource Allocation Graph)

1. 자원할당 그래프 (Resource Allocation Graph)의 개념 교착상태 발견을 위해 프로세스와 자원과의 관계와 할당 상태를 표현하는 그래프   2. 자원 할당 그래프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표현 설명 Vertex (정점) 프로세스 – 자원을 표현하는 프로세스 – 원으로 표현 자원 – 자원들의 집합을 표현 – 자원의 개수는 사각형 점으로 표현 Edge (간선)   요청선 – 프로세스에서 자원으로의

HBM (High Bandwidth Memory)

1. DRAM 적층형 고성능 메모리, HBM의 개요 (1) HBM의 부각 배경 인공지능, 자율주행, 스마트 서비스 등 신기술 확산으로 대량 데이터 처리용 고성능 연산 수요 촉발 ChatGPT 등 초거대 인공지능 경쟁의 본격화로 고용량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메모리 반도체 필요 폰노이만 컴퓨팅 구조의 데이터 이동 병목 현상 한계 해소, 저전력, 고속 연산 가능한 HBM 부각 (2) HBM(High

클라우드 핀옵스 (FinOps)

1. 클라우드 핀옵스(FinOps)의 필요성 및 개념/핵심 원칙 (1) 클라우드 핀옵스의 필요성 클라우드 확산에 따라 고정 비용에서 가변 비용으로 급격히 전환되어 비용 관리 및 가시성 필요 비용 청구 방식의 변화로 세부 리소스 별 소량/다수 청구되어 비용 추적 및 예산 수립 어려움 소프트웨어 구축 및 제공 방식 변화로 IT 부서의 비용 변동성 관리, 거버넌스 수립 요구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Schema)의 개요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개념 데이터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structure)와 제약조건(constraints)에 대한 명세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특징 메타데이터 시스템 카탈로그(데이터 사전)에 저장되며,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 데이터 모델링 현실 세계의 특정한 부분을 추상화하여 데이터 모델로 표현 시간 불변성 스키마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음 구조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며, 인스턴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