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블록체인

웹 3.0 (Web 3.0)의 구현 방안과 발전 전망

1. 웹 3.0 (Web 3.0)의 의미 시맨틱 웹 관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를 의미론적으로 이해하고 의미와 맥락을 통해 가장 유사한 정보를 검색 또는 연결 탈중앙화 관점 중앙화/독점화된 기존 웹의 문제점 대응을 위해 웹/데이터 탈중앙화, 데이터 소유권 및 프라이버시를 보장 블록체인 관점 블록체인 기술을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한 DeFi, P2E, DAO, DEX, NFT 관련 서비스 환경 데이터 소유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

I. NFT의 개요 가.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념 디지털 자산의 고유한 가치와 소유권을 기록하기 위해 블록체인 ERC 표준 기반 고유한 값을 가지고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암호화폐)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 이더리움 기반 가상 자산 발행 시 준수 해야하는 규칙(표준) 나. NFT의 특징 예술품, 부동산, 디지털 콘텐츠 등 모든 영역의 자산 대상으로 자산

De-Fi (Decentralized Finance)

I. 분산형 금융시스템, De-Fi의 개요 개념 특징 금융의 탈중앙화를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P2P 기반 금융 데이터를 분산 DB에 저장하고 블록 간 체인으로 연결하는 분산형 금융 시스템 – 이더리움 기반 스마트 계약 – 높은 투명성, 권한 분산 – 낮은 수수료 모든 트랜잭션은 분산원장(DLT)에 저장하여 전자서명 등 암호학적 기술을 통해 소유권과 무결성을 입증하여 중앙 집중 금융 생태계에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와 구현 기술

I. 블록체인의 부각 배경 및 플랫폼 서비스 필요성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 무결성 기반 암호화폐 역할과 중앙 통제가 불필요 플랫폼 서비스로 활용 부각   II.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서비스 가. 암호화폐 역할 관점의 플랫폼 서비스 구분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 특징 암호화폐 보안성 향상 측면 51% 공격 대응 Cardano 플랫폼 – PoS 기반 합의 기술 –

분산 ID (DID, Decentralized Identity)

I. 모바일 신분증, 분산 ID의 개요 가. 분산 ID (Decentralized Identity)의 개념 분산원장 기반 사용자 스스로 신원 등에 대한 증명 관리, 신원정보 제출 범위 및 제출대상 통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 중앙화 신원관리 체계 나. 분산 ID의 발전 단계 단계 신원 관리 주체 사례 신원 관리 방식 중앙집중형 서비스 제공자 SSO 중앙관리 시스템에서

머클트리 (Merkle Tree)

I. 블록체인의 데이터 구조, 머클트리 가. 머클트리 (Merkle Tree)의 개념 Leaf 노드는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위 노드는 자식 노드의 해시값으로 구성된 데이터 구조 나. 머클트리의 특징 무결성 보장 Root 노드의 해시 값으로 모든 Leaf 노드의 데이터 변경 확인 가능 동일 해시값 크기 해시 함수 기반 데이터 노드 수와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 빠른 검증 속도 이진 트리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

I.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의 개요 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의 개념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블록)의 무결성 검증 및 생성을 위한 노드 간 미리 정의된 절차 기반 의사결정 알고리즘 나. 분산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문제점에 따른 합의 알고리즘의 필요성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신뢰성 문제점 합의 알고리즘의 필요성 문제점1. Double Spending 블록생성 시간 차에 따른 이중 지불

핀테크 (Fin-Tech)

I. 금융과 기술의 융합, 핀테크 가. 핀테크(Fintech)의 정의 금융(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모바일 결제, 송금, 크라우드 펀딩 등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나. 핀테크의 특징 접근성 BT, HighTech보다 접근성이 높아 확산 속도가 빠름 저비용 인터넷 기반 서비스로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 부가가치 고객의 다양한 데이터 수집으로 부가가치 창출   II. 핀테크 산업 별 분류 및

블록체인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비교

I. 블록체인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개념 비교 소프트포크 하드포크 – 블록체인 규칙 변경을 위해 기존 블록체인 재사용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기술 – 블록체인 규칙 변경을 위해 신규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업데이트 기술 포크는 동시 마이닝 결과로도 발생하며, 소프트/하드 포크는 블록체인 Rule 변경 시 발생   II.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상세 비교 항목 소프트포크 하드포크 기존체인 관계 – 기존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I. 블록체인 2.0 핵심기능, 스마트계약 가.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의 개념 계약, 공증 등 블록체인 코드 업로드, 실행 기반 다양한 형태 계약 체결 및 자동 이행 기술 나. 스마트계약의 특징 구분 특징 설명 계약 측면 계약 / 이행 – 조건 업로드, 일치 시 자동 이행 프로세스 간소화 – 복잡한 프로세스 간소화 기술 측면 탈중앙화 – P2P 중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