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12일
CCM (Critical Chain Method)
I. 자원 간 제약 사항을 고려한 주 공정 연쇄법, CCM의 개요
가. CCM(Critical Chain Method)의 정의
자원 가용성을 고려하여 일정의 변경을 예상하고, 이를 토대로 활동 사이에 의존 관계 및 수행기간을 결정하는 방법
나. CCM의 특징
- 과다하게 설정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줄여 통합된 버퍼로 책정하고 버퍼의 소진율을 모니터링하여 전체 프로젝트를 관리
- CPM을 통한 네트워크 및 일정 산출방식은 동일하지만 각 활동의 여유시간을 떼 내어 필요 시 여유시간을 적절히 공급하는 방식
II. CPM과 CCM 여유시간 비교
가. CPM의 여유시간
– 각 활동에 여유기간을 포함하여 전체 일정을 산정
나. CCM의 여유시간
– 전체 일정에서 여유시간을 떼 내어 타이트한 일정 관리
III. CPM에서 납기가 지연되기 쉬운 이유
가. CPM에서 납기가 지연되기 쉬운 이유
– 수행예정 기간이 5인 활동을 3으로 단축해도 전체 기간은 변함 없고, 7일로 지연되면 전체 기간은 2일 지연
나. 제약 조건 반영 시 일정지연
다. 납기가 지연되기 쉬운 4가지 법칙
법칙 | 설명 |
---|---|
파킨슨의 법칙 | 모든 작업은 주어진 기간을 모두 사용 |
자기 방어 | 작업 일찍 완료하면 다른 작업 시키므로 작업 완료 숨김 |
후행공정 | 후속작업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준비 일정단축 어려움 |
학생 증후군 | 업무가 닥치기 전까지 일을 시작하지 않음 |
IV. Critical Chain의 버퍼 관리 방법
가. 프로젝트 버퍼(Project Buffer)
– Critical Chain 상의 활동에서 확보한 버퍼를 Critical Chain끝에 두어 관리
– 안전영역, 모니터링(버퍼 감시)영역, 행동영역(버퍼 통제)으로 나누어 관리
나. 피딩 버퍼(Feeding Buffer)
– non-Critical Chain에 대한 버퍼를 non-Critical Chain 끝에 구어 관리
– non-Critical Chain 작업 완료 지연에 따른 Critical Chain 착수 지연 방지
다. 자원 버퍼(Resource Buffer)
– 일종의 경보장치로 Critical Chain 착수 전 해당자원에게 수행시기를 알려줌
V. CCM의 일정 수립 및 활용
가. CCM의 일정 수립
절차 | 설명 |
---|---|
활동계획 | 활동 및 연관관계를 정의하며, 필요 자원을 추정 CPM / PERT 방식과 동일함 |
활동기간 추정 | 작업자들이 추정한 활동기간에는 버퍼가 이미 있으므로 개별 활동에 있는 버퍼를 빼내어 전체적으로 관리함 |
Critical Chain 결정 | 자원의 이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약적인 일정인 Critical Chain을 결정 |
기간 버퍼 추가 | 기간 버퍼(Duration Buffer)를 추가함 |
일정 수립 | 버퍼가 결정되면 계획된 활동들은 가장 빠른 시작, 종료일로 일정을 수립함 |
버퍼 영역 분할 | 버퍼를 안정영역(OK), 모니터링영역(Watch), 행동영역(Act)로 나누어 관리함 |
프로젝트 일정 관리 | 개별 활동의 완료일이 아닌 버퍼관리(전체 버퍼의 소진율)를 통해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함 |
나. CCM의 활용
(1) 납기지연 예방을 위한 활용: 골드렛의 솔루션
- 일정 준수 확률이 50%가 되도록 작업을 산정
- 80~90%의 확률일 때보다 일정준수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파킨슨 법칙, 학생 증후군, 자기방어 등 발생하는 것을 방지
(2) Critical Chain 활용 기법의 활용
- 프로젝트 버퍼(Project Buffer): Critical Chain 상의 활동에서 버퍼를 Critical Chain의 끝에 두어 이를 관리
- 피딩 버퍼(Feeding Buffer): Critical Chain에 연결된 non-Critical Chain 끝에 피딩 버퍼를 사용, Critical Chain의 작업 착수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
- 자원 버퍼(Resource Buffer): 물리적 시간의 확보가 아닌, Critical Chain 상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 이전에 해당 자원에 작업 수행시기를 알려줌
- Float은 non-Critical 활동이 논리적으로 가지는 여유시간이지만, 버퍼는 의도적으로 확보한 여유 시간
(3) 버퍼는 안전영역, 모니터링영역, 행동영역으로 나누어 관리
- 버퍼 소진율과 공정 진척률을 비교하여 효과적 관리 가능
- 프로젝트 진척률 75%, 버퍼 소진률 50% → 안정적인 상태
- 프로젝트 진척률 25%, 버퍼 소진률 50% → 위험 수준
VI. CPM(Critical Path Method)과 CCM(Critical Chain Method)비교
가. CPM과 CCM의 특징 비교
구분 | CPM(Critical Path Method) | CCM(Critical Chain Method) |
---|---|---|
착수일 | Earliest Start Date | Latest Start Date |
관리관점 | 진척율, EVM | 전체 버퍼의 소진율 |
여유시간 /버퍼 | 각 활동에 여유시간을 반영 활동 사이의 연관관계 | 버퍼로 통합하여 관리 |
자원제약 | 연관성을 고려하여 일정 계획 수립 후 자원 수준 변경 | 자원 제약 자체를 계획에 반영함 |
– CCM은 계획 단계부터 가용성을 고려하므로 현실적인 계획수립 가능
나. CPM과 CCM의 일정관리 방법 비교
구분 | CPM(Critical Path Method) | CCM(Critical Chain Method) |
---|---|---|
관리 방법 | ||
차트 | ||
작업 순서 | Critical Path: A → B → C → E | Critical Chain: A → D → C → E |
다. CCM은 자원의 제약을 고려하여 버퍼(여유 Float)의 관리를 통해 일정 관리
– PERT / CPM으로 구한 일정계획에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을 수행 한 후 새로 계산한 Critical Path는 Critical Chain과 같음
VII. CCM의 고려사항 및 변경관리 측면의 중점사항
가. CCM의 고려사항
- 활동 중심의 일정산정 및 실투입 자원할당 기준 실질적인 일정관리 필요
- Critical Chain 조정은 프로젝트 일정지연요소가 될 수 있어 조기 관리 필요
나. CCM 및 CPM의 변경 관리 측면 중점사항
- 일정 변경요소 발생 시 Critical Path 측면의 일정 단축 방법을 최우선 고려
- 일정지연 처리 필요 시 자원 상태를 고려하여 자원 평준화 최소화로 조정
One Comment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