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 (Information Strategy Plan)

  •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9판) 기준

1. 정보 전략 계획, ISP의 개요

(1)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의 개념 및 근거

개념전략적 정보 요구 식별 및 업무활동과 자료 영역을 기술하고 통합 정보 시스템 계획을 작성하는 체계적 접근방법
근거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기획재정부)
– 각 중앙관서의 장은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에 따라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 요구에 앞서 ISP·ISMP 최종산출물에 대한 검토를 기획재정부에 요청
예산 및 기금운용 계획 집행지침
(기획재정부)
– 중앙관서의 장은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를 참조하여 ISP 또는 ISMP를 수립하여야 한다.
– ISP 최종산출물은 환경 및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목표시스템 구축 방안, 이행과제별 추진일정, 이행과제별·연차별·항목별 상세 투자 소요 등을 포함한다.

(2)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의 필요성

ISP ISMP 수립 공통가이드의 필요성
  • 각 중앙관서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재구축 사업 위해 ISP·ISMP 최종산출물을 근거로 사업의 적정성 검토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하고, 기획재정부에서 검토하여 예산안 편성시 활용

 

2. ISP 주요 단계 및 기본 구성 내용

(1) ISP 주요 단계

ISP 주요 단계

(2) ISP 단계별 활동 및 산출물

(2) ISP 기본 구성 내용

단계활동세부내용산출물
환경 분석경영환경 분석– 변화 유발 요인 대응 시사점 도출경영환경 분석서
법령, 제도 분석– 법·제도 분석 기반 요구사항 도출법·제도 분석서
정보기술(IT) 환경 분석– 최신 정보기술의 적용가능성 분석
(DPG) 정보기술 도입 분석
정보기술 동향 분석서
현황 분석
(As-Is 분석)
업무현황 분석– 현행 조직/업무체계 문제점 및 개선 요구사항 도출업무현황 분석서
(인터뷰 결과 포함)
정보기술(IT) 현황 분석– 업무시스템, 데이터, 인프라 등 개선요구사항 도출정보기술 업무현황 분석서
벤치마킹– 선진사례 조사·분석을 진행선진사례 동향 파악서
차이(Gap)분석– 선진사례와 정보화 요건 차이 분석차이 분석서
이슈통합 및 개선과제 도출– 문제점 및 개선요구사항 그룹화요구사항 및 개선과제 분석서
정보화 비전 및 전략 수립– 정보시스템에 적용할 기술 요건 및 정보관리 전략 수립
(DPG) 민관협력 대상, 분야, 방식 등 협력 전략 수립
정보화 전략 정의서
목표모델 설계
(To-Be 분석)
To-Be 개선과제 상세화– 추진 범위, 개선방향, 적용사례 등 상세화
(DPG) AI·데이터 기술기반 의사결정 활용 계획
To-Be 과제 상세 정의서
To-Be 업무프로세스 설계– 업무기능(Activity) 단위 기능(Function) 요건To-Be 업무프로세스 설계서
To-Be 정보시스템구조 설계– 응용서비스(Application) 구조 정립
(DPG) 통합인증체계, 사용자 이용환경 고려
To-Be 정보시스템구조 설계서
To-Be 데이터구조 설계– 정보자원(데이터) 관리 체계 정리
(DPG) 범정부 시스템연계, 개방형 표준 적용
To-Be 데이터구조 설계서
To-Be 기술 및 보안구조 설계– 필요 기술 요소 및 기반(인프라) 구조 정립To-Be기술 및 보안 구조 설계서
통합 이행계획
수립
통합 이행계획 수립– 이행과제 간 선후관계 고려, 추진 체계/일정 수립통합 이행 계획 수립서
총사업비 산출기능점수(FP), SW 및 HW 구매 규격, 수량 산정
효과분석– 타당한 기대효과 분석
(대규모 정보화 사업은 NPV 등 경제적 타당성 분석)

 

3. ISP 검토를 위한 구성 항목 및 내용

분야구성 항목내용 (고려사항)
1. 사업 타당성① 필요성– 현행 업무 수행 상 발생 문제점, 개선 사유 제시
– 이행과제를 사업목표와 일관성 있도록 작성
② 시급성– 1차년도에 반드시 추진해야할 시급한 사유 제시
– 비용·효과 측면 제시, 선행 필요 사업 파악
③ 중복성– 타 시스템과 중복 가능성 점검, 통합·연계 검토
– 타 기관 정보화사업·정보시스템 중복 가능성 파악
2. 실현 가능성① 사업추진 여건– 사업 추진 위한 조직 구성과 인력 확보 방안 기술
– 유관기관 연계·통합 필요 시 역할과 협조체계 기술
– 신규 서비스 시행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제시
② 기술 적정성– 사업목표 달성 위한 필수 요소, 적용 가능성 분석
– 적용된 기술의 실용화 사례를 조사·분석
3.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적용– 클라우드 기술 우선 적용 권고, 국민중심, 하나의 정부, AI·데이터기반, 민관협력) 적용 방안 제시
4. 규모 적정성– SW사업 대가산정가이드 등을 활용하여 구축비 산출, 이행과제 비용의 합과 일치하도록 작성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TTA) 준수
기능점수(Function Point) 산정 원칙 준수

 
[참고]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9판), 2025.5

콘텐츠 사용 시 출처 표기 부탁 드리고,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