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5일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
-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9판) 기준
1. 정보 전략 계획, ISP의 개요
(1)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의 개념 및 근거
개념 | 전략적 정보 요구 식별 및 업무활동과 자료 영역을 기술하고 통합 정보 시스템 계획을 작성하는 체계적 접근방법 | |
---|---|---|
근거 |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기획재정부) | – 각 중앙관서의 장은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에 따라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 요구에 앞서 ISP·ISMP 최종산출물에 대한 검토를 기획재정부에 요청 |
예산 및 기금운용 계획 집행지침 (기획재정부) | – 중앙관서의 장은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를 참조하여 ISP 또는 ISMP를 수립하여야 한다. – ISP 최종산출물은 환경 및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목표시스템 구축 방안, 이행과제별 추진일정, 이행과제별·연차별·항목별 상세 투자 소요 등을 포함한다. |
(2)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의 필요성
![]() |
- 각 중앙관서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재구축 사업 위해 ISP·ISMP 최종산출물을 근거로 사업의 적정성 검토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하고, 기획재정부에서 검토하여 예산안 편성시 활용
2. ISP 주요 단계 및 기본 구성 내용
(1) ISP 주요 단계
![]() |
(2) ISP 단계별 활동 및 산출물
![]() |
(2) ISP 기본 구성 내용
단계 | 활동 | 세부내용 | 산출물 |
---|---|---|---|
환경 분석 | 경영환경 분석 | – 변화 유발 요인 대응 시사점 도출 | 경영환경 분석서 |
법령, 제도 분석 | – 법·제도 분석 기반 요구사항 도출 | 법·제도 분석서 | |
정보기술(IT) 환경 분석 | – 최신 정보기술의 적용가능성 분석 (DPG) 정보기술 도입 분석 | 정보기술 동향 분석서 | |
현황 분석 (As-Is 분석) | 업무현황 분석 | – 현행 조직/업무체계 문제점 및 개선 요구사항 도출 | 업무현황 분석서 (인터뷰 결과 포함) |
정보기술(IT) 현황 분석 | – 업무시스템, 데이터, 인프라 등 개선요구사항 도출 | 정보기술 업무현황 분석서 | |
벤치마킹 | – 선진사례 조사·분석을 진행 | 선진사례 동향 파악서 | |
차이(Gap)분석 | – 선진사례와 정보화 요건 차이 분석 | 차이 분석서 | |
이슈통합 및 개선과제 도출 | – 문제점 및 개선요구사항 그룹화 | 요구사항 및 개선과제 분석서 | |
정보화 비전 및 전략 수립 | – 정보시스템에 적용할 기술 요건 및 정보관리 전략 수립 (DPG) 민관협력 대상, 분야, 방식 등 협력 전략 수립 | 정보화 전략 정의서 | |
목표모델 설계 (To-Be 분석) | To-Be 개선과제 상세화 | – 추진 범위, 개선방향, 적용사례 등 상세화 (DPG) AI·데이터 기술기반 의사결정 활용 계획 | To-Be 과제 상세 정의서 |
To-Be 업무프로세스 설계 | – 업무기능(Activity) 단위 기능(Function) 요건 | To-Be 업무프로세스 설계서 | |
To-Be 정보시스템구조 설계 | – 응용서비스(Application) 구조 정립 (DPG) 통합인증체계, 사용자 이용환경 고려 | To-Be 정보시스템구조 설계서 | |
To-Be 데이터구조 설계 | – 정보자원(데이터) 관리 체계 정리 (DPG) 범정부 시스템연계, 개방형 표준 적용 | To-Be 데이터구조 설계서 | |
To-Be 기술 및 보안구조 설계 | – 필요 기술 요소 및 기반(인프라) 구조 정립 | To-Be기술 및 보안 구조 설계서 | |
통합 이행계획 수립 | 통합 이행계획 수립 | – 이행과제 간 선후관계 고려, 추진 체계/일정 수립 | 통합 이행 계획 수립서 |
총사업비 산출 | – 기능점수(FP), SW 및 HW 구매 규격, 수량 산정 | ||
효과분석 | – 타당한 기대효과 분석 (대규모 정보화 사업은 NPV 등 경제적 타당성 분석) |
- ISP 수립 시 (DPG) 표시 부분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적용 필요
3. ISP 검토를 위한 구성 항목 및 내용
분야 | 구성 항목 | 내용 (고려사항) |
---|---|---|
1. 사업 타당성 | ① 필요성 | – 현행 업무 수행 상 발생 문제점, 개선 사유 제시 – 이행과제를 사업목표와 일관성 있도록 작성 |
② 시급성 | – 1차년도에 반드시 추진해야할 시급한 사유 제시 – 비용·효과 측면 제시, 선행 필요 사업 파악 | |
③ 중복성 | – 타 시스템과 중복 가능성 점검, 통합·연계 검토 – 타 기관 정보화사업·정보시스템 중복 가능성 파악 | |
2. 실현 가능성 | ① 사업추진 여건 | – 사업 추진 위한 조직 구성과 인력 확보 방안 기술 – 유관기관 연계·통합 필요 시 역할과 협조체계 기술 – 신규 서비스 시행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제시 |
② 기술 적정성 | – 사업목표 달성 위한 필수 요소, 적용 가능성 분석 – 적용된 기술의 실용화 사례를 조사·분석 | |
3.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적용 | – 클라우드 기술 우선 적용 권고, 국민중심, 하나의 정부, AI·데이터기반, 민관협력) 적용 방안 제시 | |
4. 규모 적정성 | – SW사업 대가산정가이드 등을 활용하여 구축비 산출, 이행과제 비용의 합과 일치하도록 작성 –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TTA) 준수 – 기능점수(Function Point) 산정 원칙 준수 |
- SW사업 대가산정가이드,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등 관련 규정·지침은 ISP 수행 시점의 최신판을 준용
[참고]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9판), 2025.5